카테고리 없음

🌐[1부] 러우전쟁 3년, 무엇이 달라졌나?

인베스트 라운지 2025. 3. 21. 17:32
반응형

아직도 전쟁은 끝나지 않았어. 2022년 2월에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 어느덧 3년째인데 말이야. 근데 종전 얘기는커녕, 다들 ‘평화’를 입에 올리면서도 속으론 자기 이익만 챙기기 바빠 보여. 이건 그냥 힘겨루기, 전략 싸움 그 자체야.

그래서 오늘은, 각 나라가 어떤 입장인지, 왜 이렇게 길어지는 건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봤어. 하나씩 같이 살펴보자! 😊


1장. 각국의 구체적 입장 변화 🔍

🇺🇸 미국 – 광물협정 전후로 확 달라진 태도 🤔

  • 📉 광물협정 전엔 지원 예산도 지연되고, 무기도 잘 안 보내주고… 우크라이나 입장에선 ‘미국이 우리 손 놓는 건가?’ 싶었을 정도였지.
  • 📈 근데 협정 체결 후엔 바로 위성 정보 뿌려주고, 방공망도 쏴주고, 방산업체들 무기 계약 줄줄이 체결했어. 갑자기 태도가 확 바뀐 거야.
  • 📌 결국 미국은 ‘전쟁을 끝낸다’는 말보단, 자원 챙기고 영향력 유지하려는 전략이 더 강한 거 같아. 평화? 그건 뒷전 느낌이랄까.

🇪🇺 유럽 – 평화를 말하지만 제재는 더 세짐 💥

  • 유럽은 전쟁 초기부터 줄곧 러시아 압박에 집중해왔고, 최근엔 제재 강도가 더 세졌어.

💼 15차 제재 (2024.12.16)

  • 개인 54명, 기관 30곳 추가 제재
  • ‘푸틴의 그림자 함대’ 선박 52척 제재
  • 중국, 이란, UAE 등 제3국 기업 32곳도 포함 😮

🔒 16차 제재 (2025.2.24)

  • 러시아산 알루미늄 수입 쿼터제 도입 (1년 후 전면 금지)
  • 러시아 원유 저장도 EU 항구에서 전면 금지
  • 그림자 함대 선박 74척, 개인 48명, 기관 35곳, 제3국 법인 53곳 추가 제재

📌 겉으론 ‘평화’를 이야기하지만, 실제로는 러시아를 길게 조이겠다는 전략이 확실히 보여.

🇷🇺 러시아 – 제재 속에서도 안 무너져 💪

  • 2023년 성장률 3.6%, 2024년엔 4% 이상 예상 📊
  • 외환보유고 6,000억 달러 이상 유지 중이고, 군사비도 GDP의 8% 넘게 쓰는 중
  • 중국·인도·아프리카 쪽으로 수출 전환해서 수출길은 유지 중이고, 에너지 수출도 여전히 돈 되는 카드야
  • 푸틴은 제재 해제 없인 협상도 없다면서 평화유지군 배치는 절대 불가라고 못 박았어. 완전 단호 그 자체지.

🇺🇦 우크라이나 – 평화를 원하지만 확실한 안전 보장이 우선 🛡️

  • 나토 가입과 EU 통합을 통해 안보를 제도적으로 보장받는 걸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어.
  • 전범 석방, 자국 영토 회복, 그리고 전후 재건을 위한 국제적 보증도 요구 중이야.
  • 미국·유럽에 평화유지군 파병을 요청했고, 러시아가 점령 중인 핵시설에 대한 감시 권한도 논의된 바 있어.
  • 전쟁을 조기에 끝내고 싶다는 입장은 분명하지만, 안보 불안 속에서 확실한 국제적 약속 없이는 협상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입장이야.
  • 최근엔 서방과의 협력 확대와 군사 지원 요청을 계속하고 있고,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 속에 전쟁 이후를 준비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어.
반응형

2장. 겉으론 평화, 속으론? – 각국의 속내 🔍

🇺🇸 미국 – 평화 말했지만, 손에 쥔 건 무기 계약서 💼

  • 광물 협정이 체결된 이후 지원 확대! 위성 정보 재개, 방공망, 무기 계약까지 줄줄이 이어지고 있어.
  • 광물 협정을 맺었으니 미국 입장에서는 이제 급할거 없다는 뜻이겠지.
  • 광물 협정으로 채권을 손에 쥐었는데 빠른 종전으로 무기 팔 기회를 중단하고 싶지 않은거야.
  • 광물 협정 전의 압박은 협상 지렛대를 쥐기 위한 전략이었던 셈이지.

🇪🇺 유럽 – 평화를 부르짖지만 제재는 점점 더 강해져 ⛓️

  • 유럽은 전쟁 내내 ‘러시아 압박’ 중심 전략을 유지하고 있고, 그 강도는 점점 강해지고 있어.
  •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명예회복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만 제시하고 있어.
  • 아직까지 평화협정에 제재 해제를 언급한적 없고, 러시아가 절대 못받아들인다고 하는 평화유지군 파병할 계획만 세우고 있어.
  • 트럼프가 광물 협정을 먼저 맺어 버려서 유럽도 그동안 들인 자금을 회수할 방안을 찾을 시간을 벌 생각이야.
  • 아직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고 남은 재래식 무기가 남아서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수 있어.

🇷🇺 러시아 – 제재는 받지만, 굽히진 않는다 💢

  • 경제성장률 유지, 외환보유고 튼튼, 군사비도 꾸준히 증가. 쉽게 무너지지 않아.
  • 소기의 목적은 달성했지만 전쟁이 장기화 되면 러시아로서도 부담되긴 해.
  • 그렇다고 지금 전세가 유리한 상황에서 서방의 압력에 굴복하고 물러날 이유가 전혀 없어.
  • 제재 해제를 해준다면 이정도에서 마무리 하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어

🇺🇦 우크라이나 – 독자적 주체인가, 전략적 수단인가? 🤷‍♀️

  • Ipsos, Gallup, Rating Group Ukraine 등 여러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여전히 방어 의지는 있지만, 전쟁 피로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 특히 청년층과 도시 노동 계층에서 탈영, 도피, 징병 반대 움직임이 눈에 띄게 증가했고, 가족 단위의 소규모 반전 시위도 등장했어.
  • 정부는 여전히 나토 가입, EU 통합, 전범 처벌, 안보 보장 같은 조건을 내걸고 있는데, 이건 국민들이 바라는 ‘지금이라도 끝났으면’ 하는 감정과 거리가 있어.

🚀 전쟁은 언제 끝날까 🧩

  • 모두 ‘평화’를 말하고 있지만, 진짜 목적은 다 달라. 누구도 양보할 생각은 없어 보이거든.
  • 전쟁은 우크라이나에서 이뤄지고 있어서 서방국가는 직접적인 전쟁 피해가 없는 상황이지.
  • 게다가 전쟁으로 인해 여러가지 이득이 있고, 트럼프가 한 것처럼 유럽도 그동안의 지원에 대한 댓가를 받아내고 싶어하고 있어.
  • 러시아 제재를 하면서 러시아의 원자재와 천연자원이 국제사회에 싸게 풀리고 있는 것도 서방국가들에게는 나쁘지 않은게 현실이야.
  • 안타까운 것은 피해를 보고있는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종식시킬 카드가 마땅치 않다는 점이지.
  • 팬데믹 때문에 한동안 전쟁이 없었어서 서방국가들은 이번 기회를 쉽게 마무리하고 싶지 않을거야. 서방국가들이 만족할 만한 보상이나 무언가가 해결될때까지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는 미안하지만 전쟁은 지속되리라고 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