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사업이란?
이 제도는 실업자, 비정규직 근로자 등 취약계층이 생계비 부담 없이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국가 정책이야!
✔ 최대 월 200만 원, 총 1,000만 원까지 저금리(연 1%)로 대부 ✔ 최대 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 가능 ✔ 고용위기지역 근로자, 특별재난지역 거주자는 최대 2,000만 원까지 대출 가능!

2. 지원 대상
✅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
- 140시간 이상의 직업훈련과정에 참여하는 훈련생 중 아래 조건을 충족하는 사람
- 실업자: 고용보험 피보험자격을 상실한 후 실업 상태인 사람
- 비정규직 근로자: 기간제, 단시간, 파견, 일용근로자
- 무급휴직자: 휴직수당 없이 무급휴직 중인 근로자
- 자영업자인 피보험자: 자영업자 고용보험 가입자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인 가구
-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참여자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도 가능
- 특별고용지원업종 종사자, 고용위기지역 근로자·무급휴직자, 특별재난지역 거주자는 소득 기준 없이 지원 가능!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80% | 기준 중위소득 100% |
1인 가구 | 1,913,610원 | 2,392,013원 |
2인 가구 | 3,146,126원 | 3,932,658원 |
3인 가구 | 4,020,282원 | 5,025,353원 |
4인 가구 | 4,878,218원 | 6,097,773원 |
5인 가구 | 5,686,554원 | 7,108,192원 |
6인 가구 | 6,451,844원 | 8,064,805원 |
📌 출처: 2025년 보건복지부 기준 중위소득
반응형
3. 지원 내용 💵
✔ 대부 한도
- 월 최대 200만 원 지원
- 총 1,000만 원 한도 (특별고용지원업종 및 특별재난지역 거주자는 2,000만 원 한도)
✔ 대부 금리
- 연 1.0% 고정금리
✔ 상환 방식
- 최대 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 가능
📌 예시
- 월 200만 원씩 5개월 동안 대부 → 총 1,000만 원 대부 후 3년간 거치, 이후 5년간 나눠서 상환
4. 신청 방법 📝
✔ 신청 경로
- 온라인 신청: 근로복지넷
- 방문 신청: 전국 근로복지공단 지사
✔ 신청 절차
- 근로복지넷 접속 → 인증서 로그인 → 융자 및 신용보증 신청
- 적격 여부 검토 및 신용보증서 발행 (공단 심사 후 SMS 결과 통보)
- 대부 실행: 중소기업은행 인터넷뱅킹에서 대부 실행
✔ 제출 서류
- 주민등록등본 (공공마이데이터 제공 동의 시 생략 가능)
- 소득증빙서류 (필요 시 제출 요구 가능)
5. 주의사항 ⚠️
- 훈련 참여 중이며, 남은 훈련기간이 15일 이상 남아 있어야 신청 가능!
- 원격훈련도 가능하지만, 실시간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비대면 교육이어야 함
- 신청 후 적격 여부 심사를 통과해야 대출 실행 가능
- 대출금은 반드시 훈련에 참여하는 본인 계좌로 지급됨
- 연체 시 불이익 발생 가능 (신용등급 하락, 연체 이자 발생)
6. 신청 기관 및 문의처 📞
- 근로복지공단: ☎ 1588-0075 (https://www.comwel.or.kr)
-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 1350 (https://www.moel.go.kr)
- 중소기업은행 대부 실행 문의: ☎ 1566-2566 (https://www.ibk.co.kr)
🎯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를 활용해서 경제적 부담 없이 직업훈련을 받고,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하자! 🚀
반응형
'생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광역구직활동비 - 원거리 면접비 정부지원 🚆 (0) | 2025.03.19 |
---|---|
✨ 조기재취업수당 - 남은 실업급여 50% 💼 (0) | 2025.03.19 |
✨ 장애인 직업 능력 개발 지원 총정리! 🏆 (0) | 2025.03.19 |
✨ 국민내일배움카드 - 300만원 정부지원 무료교육 🏆 (0) | 2025.03.19 |
🏗️산재근로자를 위한 직업훈련 제도(무료)! 💼 (0) | 2025.03.19 |